Arduino

    Arduino nano 33 BLE - 개발환경 설정

    NANO 33 BLE는 AVR 기반인 기존 아두이노와 다르게 ARM 기반의 제어칩을 사용한다. 그렇기 때문에 컴파일 방법이 달라, 보드를 새로 설치하여야 한다. "툴" -> "보드" -> "보드 매니저..." 을 클릭하여 "nano 33"이라고 검색한 후 "Arduino Mbed OS Nano Boards"를 설치. 설치가 끝나면 "Arduino NANO 33 BLE" 가 보드 선택 창에 나타난다. 보드를 선택한 후 포트 역시 선택해 준다. 간단한 예제를 아두이노 나노 33 BLE에 업로드 해보자. IDE에서 파일 - 예제 - 01.Basics - Blink 예제를 사용합니다. 예제를 불러오고 아두이노에 업로드하여 동작을 확인합니다. 아두이노 나노 33 BLE에 'LED_BUILTIN'핀은 D13번 핀입..

    Arduino nano 33 IOT

    아두이노 나노 33 IoT은 SAMD21G18A 칩을 MCU로 사용하고 있고, IoT에서 중요하게 여겨지는 보안을 위해 ATECC608A 암호화 칩을 사용하여 SHA-256, AES-128등 다양한 암호화를 지원합니다. 그리고 LSM6DS3 IMU를 사용하여 3축 자이로, 3축 가속도 센서를 기본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한 통신 칩은 ESP32기반으로 만들어진 NINA W102 칩을 사용합니다. 통신 WIFI BLE 4.2 칩 SAMD21G18A 클럭 48MHz 메모리 256KB 플래시 메모리, 32KB SRAM(램) 인터페이스 USB SPI I2C I2S UART 전압 5V USB 입력 전압 4.5 ~ 21V VIN 입력 전압 3.3V I/O 전압 핀 아웃 디지털 핀 14개 아날..

    Arduino nano 33 IOT - 개발환경 설정

    Arduino NANO 33 IOT 보드 설치 아두이노 실행파일을 열어 메뉴 > 툴 > 보드 > 보드매니저를 실행합니다. 보드매니저 검색창에서"NANO 33"이라고 검색하고 'Arduino SAMD Boards (32-bits ARM Cortex-M0+)'를 확인하고 설치합니다. 보드를 설치하고 다시 보드 옵션을 확인해보면 Arduino SAMD 하위에 Arduino NANO 33 IoT 보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어서 NANO 33 IoT를 선택하여 보드를 설정합니다. 드라이버 설치가 완료되면 윈도우에서는 장치 관리자에서 포트를 확인하여 설정할 수 있고, 리눅스나 맥에서는 장치 정보에서 보드가 인식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 다음 아두이노 개발환경에서 포트를 설정합니다. 간단한 예제를 아두이노..

    Arduino nano 33 IOT - WiFi 연결 (AP Mode)

    Arduino nano 33 IOT - 개발환경 설정 https://rorsi.tistory.com/15 이 예에서는 beginAP( ) 함수를 사용하여 로컬 WiFI 네트워크에 의존하지 않고 액세스 포인트를 설정합니다. 이 예제는 WiFi 모듈의 IP 주소를 Arduino 시리얼 모니터에 나타냅니다. 보드의 IP 주소를 알고 나면 웹 브라우저에서 해당 주소를 열어 Nano 33 IoT 보드의 13번 BuilrIn LED를 켜고 끌 수 있습니다. 보드의 IP 주소가 192.168.x.x 인 경우 : http://192.168.x.x/H는 LED를 켭니다. http://192.168.x.x/L는 LED를 끕니다. 서버로 동작하는 시리얼 모니터 화면은 다음과 같습니다. 아래 소스코드를 보면 arduino_s..

    Arduino nano 33 IOT - WiFi 연결 (STA Mode)

    Arduino nano 33 IOT - 개발환경 설정 https://rorsi.tistory.com/15 이제 Nano33 IoT보드에서 WiFi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WiFiNINA"라이브러리가 필요합니다. ​ 라이브러리 관리에서 "WiFiNINA"라이브러리를 받아줍니다. 이제 WiFi에 접속하는 소스코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include #include const char* ssid = "Test"; // WiFi의 SSID const char* pass = "12345678"; // WiFi의 비밀번호 int status = WL_IDLE_STATUS; void setup() { Serial.begin(9600); while (!Serial) {;} if (WiFi.status() ==..

    Arduino nano 33 IOT - WiFi를 통한 MYSQL 연결

    WiFi 연결 방법 https://rorsi.tistory.com/13 참고 github.com/ChuckBell/MySQL_Connector_Arduino/wiki GitHub - ChuckBell/MySQL_Connector_Arduino: Database connector library for using MySQL with your Arduino projects. Database connector library for using MySQL with your Arduino projects. - GitHub - ChuckBell/MySQL_Connector_Arduino: Database connector library for using MySQL with your Arduino projects. gi..

    Arduino Nano 33 IOT - AWS IoT Core 연결 (2)

    Arduino Nano 33 IOT - AWS IoT Core 연결 (1) 이어서 보안 -> 정책 -> 생성을 선택해줍니다. 다음과 같이 빈칸을 채워줍니다. 이름은 본인이 원하는 대로 해도 무관합니다. 그다음 생성을 눌러주시면 다음과 같이 생성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다시 관리 -> 사물로 들어가서 전에 만들어둔 gcampNano33IOT 사물을 선택해줍니다. 선택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오는데 밑에 인증서를 클릭해 나오는 인증서 ID를 클릭해줍니다. 그럼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오게 됩니다. 왼쪽 메뉴에 정책에 들어가서 오른쪽 상단에 작업바를 클릭해 정책 연결을 선택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오게 됩니다. 아까 만들어둔 AllowEverything 파일을 선택해 연결해줍니다. 그럼 다음과 같이 정책이..

    Arduino Nano 33 IOT - AWS IoT Core 연결 (1)

    AWS IoT Core AWS IoT Core는 연결된 디바이스가 쉽고 안전하게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 및 다른 디바이스와 상호 작용할 수 있게 해주는 관리형 클라우드 플랫폼입니다. AWS IoT Core는 수십억 개의 디바이스와 수조 건의 메시지를 지원하고,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이러한 메시지를 처리하여 AWS 엔드포인트 및 다른 디바이스로 라우팅 할 수 있습니다. AWS IoT Core의 경우, 디바이스가 연결되어 있지 않더라도 언제든 애플리케이션에서 모든 디바이스를 추적하고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습니다. 먼저 Arduino 프로그램을 실행합니다. "툴" -> "보드" -> "보드 매니저..." 을 클릭하여 "ecc"이라고 검색한 후 "ArduinoBearSSL", "ArduinoECCX08"를 설치...

    Node-RED - MongoDB 연결

    Node-RED에서 MongoDB 연결 Node-RED에 MongoDB를 연결해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MongoDB 설치가 필수입니다. 아래 참조 사이트에 들어가면 MongoDB 설치 및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https://khj93.tistory.com/entry/MongoDB-Window%EC%97%90-MongoDB-%EC%84%A4%EC%B9%98%ED%95%98%EA%B8%B0 [MongoDB] Windows에 MongoDB 설치하기 MongoDB 몽고 DB는 Document 지향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으로 대표적인 NoSQL DB입니다. 오늘은 그러한 MongoDB를 Winodws에 설치 방법에 대해 포스팅을 해보려고 합니다 1. 설치 하기 설치 링크 : www.mongodb.com.. k..

    Node-red

    Node-RED Node-RED(노드 레드)는 하드웨어 장치들, API, 온라인 서비스를 사물인터넷의 일부로 와이어링(배선화)시키기 위해 본래 IBM이 개발한 시각 프로그래밍을 위한 플로 기반 개발 도구이다. -위키백과 시각화 도구란? 데이터와 자료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그림, 도표, 차트, 그래프 등을 이용해 표시하는 것이 바로 데이터 시각화, 여기에 사용되는 그림, 도표와 같은 수단을 시각화 도구라고 합니다. 사용자가 받아들이기 편리하도록 데이터와 자료를, 한눈에 보이는 시각화 자료로 바꿀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 이 도구들을 바로 시각화 도구라고 합니다. Node-RED 도 시각화 도구 중 하나입니다. Node-RED 설치 참조 사이트 Node-Red를 사용하기 위해선 Node.js를 설치해야 합..